[악성스팸메일 주의] “report”, “Delivery Status Notification (Failure)” Posted By ASEC , 2010년 9월 21일 “report“, “Delivery Status Notification (Failure)” 제목의 악성 html 파일을 첨부한 스팸메일이 유포중 입니다. 스팸메일 내 본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메일제목 ▶ report Sending my report. Have a great weekend. Cheers 2. 메일제목 ▶ Delivery Status Notification (Failure) Delivery to the following recipient failed permanently: ampoulesvb8@resp-usc.com Technical details of permanent failure: DNS Error: Domain name not found 해당 html들은 악성코드 제작자가 만든 패턴에 의해 인코딩 되어 있습니다. 인코딩을 풀어보면 아래와 같이 웹페이지를 리디렉션하는 디코딩된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GSPI + 숫자로 이루어진 VBS/Autorun 악성코드 대처법 Posted By ASEC , 2010년 9월 15일 1. 서론 VBS 악성코드는 wscript을 이용하기 때문에 작성이 용이하여 높은 감염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VBS악성코드 중 특정 레지스트리 값을 변경하여 컴퓨터 사용에 장애를 유발하는 GSPI라는 이름의 악성코드에 대한 증상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악성코드 감염 시 나타나는 증상
VBS/Autorun 악성코드 감염사례 및 치료, 예방방법 Posted By ASEC , 2010년 9월 2일 1. VBS(Visual Basic Script)와 VBS 이용 악성코드 작성 이유 요즘에는 전문서적뿐 아니라 인터넷의 정보를 이용하면 누구나 유해 가능한 악성코드를 손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악성코드를 제작하는데 있어 많이 사용되는 것이 바로 VBS(Visual Basic Script)입니다. 그래서 빈번하게 퍼지고 있는 유해 악성프로그램(바이러스, 웜, 백도어, 트로이목마 등)의 종류를 보면 VBS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이 많습니다. VBS란 비주얼 베이직의 서브세트로써,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사에서 개발한 자바 스크립트와 마찬가지로 MS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IIS (Internet Information Server)에서 실행 가능한 스크립트 언어로 비주얼 베이직 문법에 기초를 두고 제작되어 HTML문서 안에 스크립트를 두고 동적으로 처리하는 언어이며 대화형 월드 와이드 웹(WWW) 홈 페이지를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됩니다. 또 액티브 X 제어(Active X control)나 자바 애플릿(Java applet)을 조작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프로그램 제작 언어(어셈블러, C 등)에 비하여 프로그램 분석이나 제작이…
악성코드로 인한 imm32.dll 파일 변조 조치 가이드 Posted By ASEC , 2010년 5월 12일 1. 서론 최근 imm32.dll 파일을 변조하는 악성코드로 인해 한/영 전환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거나, 게임 혹은 기타 프로그램 실행 시 해당 파일 변조로 게임을 실행할 수 없다는 메세지가 나타나는 현상이 많이 접수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조치가이드를 안내해 드립니다.2. 악성코드 감염 시 나타는 증상 해당 악성코드는 imm32.dll 파일을 변조시켜 게임 계정을 탈취하는 기능을 가진 악성코드 입니다. 해당 악성코드에 감염되면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정상파일인 imm32.dll 파일을 imm32.dll.log, imm32.dll.bak, imm32.dll.tmp 등의 이름으로 백업시킨 후 악성코드로 교체하게 됩니다. (발견되는 변종에 따라 일부 파일명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 파일들을 삭제하고 변조된 파일은 정상 파일로 복원을 시켜주어야 합니다.C:WindowsSystem32imm32.dllC:WindowsSystem32ole.dll C:WindowsSystem32nt32.dll 3. 조치 방법 3-1. 전용백신으로 치료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어 전용백신을 다운로드 합니다. [전용백신 다운로드 (클릭)] 3-2. 수동 조치 방법 우선 수동조치 방법보다 위에 안내해드린 전용백신을 통한 치료를 권장 드립니다. 1)…
Antimalware Doctor (가짜백신) 조치가이드 Posted By ASEC , 2010년 5월 10일 1. 개 요 현재 'Antimalware Doctor' 라는 FakeAV(허위백신) 감염사실이 다수 제보된 상태입니다. 같은 증상을 갖고 있는 네티즌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Antimalware Doctor'의 치료법을 안내하는 조치가이드를 작성하여 공유합니다. 2. 감염 시 증상 허위백신이 동작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지속적으로 나타납니다. [그림1. 감염 시 생성되는 창] 위협요소를 치료하겠다고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Key가 활성화되어있지 않다고 안내하며 결제페이지로 유도합니다. [그림2. Key 활성화 안내창] 트레이에는 그림과 같은 2가지 아이콘이 생성되며, Close를 눌러도 종료되지 않습니다. [그림3. 트레이에 나타나는 아이콘] 3. 조치 방법 현재 V3 제품에서 해당 허위백신을 Win-Trojan/Fakeav.743424 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V3 제품에서 스마트업데이트를 통해 엔진을 최신엔진으로 업데이트 하신 후 검사 및 치료를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만일 V3를 설치하지 않으셨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무료백신 V3lite 를 설치하여 치료하시기 바랍니다. V3lite 바로가기 – www.v3lite.com 수동으로 직접 조치를 원하시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