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치 가이드

마이크로소프트 전자 인증서 관련 긴급 보안 패치 배포

미국 현지 시각으로 2011년 3월 23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긴급 보안 패치를 배포하였다. 이 번에 긴급으로 배포한 보안 패치는 SANS 블로그 “Microsoft Advisory about fraudulent SSL Certificates“에서 밝힌 바와 같이 신뢰 할 수 있는 웹 사이트 인증에 사용되는 전자 인증서(Digital Certificates)가 위조되었다. 해당 취약점은 전자 인증서 기한 만료 검증을 수행하여 검증 실패가 발생하여도 검증 완료 된 것처럼 동작하여 웹 브라우저(Web Broswer)와 같은 프로그램들에 의해 피싱(Phishing) 또는 중간자 공격(MITM, Man in the Middle)이 발생 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현재까지 해당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실제 발생 하지는 않았으며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아래와 같이 보안 권고문을 게시하였으며 보안 패치를 배포 중에 있다. Microsoft Security Advisory (2524375) Fraudulent Digital Certificates Could Allow Spoofing 해당 보안 패치의 설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사용자들의 경우 아래 웹 사이트를 통해 진행 할…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 보안 패치 배포

2011년 3월 16일 ASEC에서는 어도비(Adobe) 플래쉬 플레이어(Flash Player)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 (0-Day, Zero Day) 취약점(CVE-2011-0609)이 존재하며 엑셀 파일에 포함된 어도비 플래쉬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타킷 공격이 발생하였다고 전한 바가 있다. 한국 시각으로 금일 어도비에서는 해당 플래쉬 플레이어에 존재하였던 제로 데이 취약점을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가 배포 되었다. 그리고 해당 취약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아크로뱃 리더(Acrobat Reader) 관련 보안 패치까지 같이 제공 중에 있다. APSB11-05 Security update available for Adobe Flash Player APSB11-06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Adobe Reader and Acrobat 어도비 플래쉬 플레이어에 존재하는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아래 어도비 웹 사이트를 통해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Adobe Flash Player Download Center 그리고 어도비 아크로뱃 리더 사용자들은 다음 어도비 웹 사이트를 통해 자신이 사용하는 아크로뱃 리더 버전에…

마이크로소프트 2011년 3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1년 2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1년 3월 9일 금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3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보안 공지 MS11-015 – 긴급 Windows Media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510030) Microsoft 보안 공지 MS11-016 – 중요 Microsoft Groov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494047) Microsoft 보안 공지 MS11-017 – 중요 원격 데스크톱 클라이언트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508062) 다양한 악성코드들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보안 취약점을 악용함으로 미리 보안 패치 설치를 통해 악성코드의 감염을 예방 하는 것이 좋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보안 패치 설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사용자들의 경우 아래 웹 사이트를 통해 진행 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업데이트

마이크로소프트 2011년 2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1년 1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1년 2월 9일 금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12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보안 공지 MS11-003 – 긴급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2482017) Microsoft 보안 공지 MS11-004 – 중요 IIS(인터넷 정보 서비스) FTP 서비스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489256) Microsoft 보안 공지 MS11-005 – 중요 Active Directory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2478953) Microsoft 보안 공지 MS11-006 – 긴급 Windows 셸 그래픽 처리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483185) Microsoft 보안 공지 MS11-007 – 긴급 OpenType CFF(Compact Font Format)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485376) Microsoft 보안 공지 MS11-008 – 중요 Microsoft Visio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451879) Microsoft 보안…

마이크로소프트 2011년 1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0년 12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1년 1월 12일 금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2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보안 공지 MS11-001 – 중요 Windows 백업 관리자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478935) Microsoft 보안 공지 MS11-002 – 긴급 Microsoft Data Access Component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451910) 이 번 2011년 1월 보안 패치 배포에서는 이미 사전에 알려진 바와 같이 2011년 1월 5일 발견된 CVE-2010-3970 “Microsoft 보안 권고(2490606) 그래픽 렌더링 엔진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과 2010년 12월 22일 발견된 CVE-2010-3971 “Microsoft Security Advisory (2488013) Vulnerability in Internet Explorer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 취약점들에 대한 보안 패치는 포함되지 않았다. 특히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CVE-2010-3971 취약점 악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