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은 TCPView로 악성코드의 동작을 모니터링 해보고, 그에 따른 대응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글에서 TCP View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 드렸기 때문에 본 글에서는 별도의 기능 설명 없이 바로 진행하겠습니다!
오늘 시연에 사용될 악성코드는 악의적인 네트워크 트래픽을 다량 발생시키는 녀석으로서 V3에서는 아래의 진단명으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
오늘은 TCPView로 악성코드의 동작을 모니터링 해보고, 그에 따른 대응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글에서 TCP View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 드렸기 때문에 본 글에서는 별도의 기능 설명 없이 바로 진행하겠습니다!
오늘 시연에 사용될 악성코드는 악의적인 네트워크 트래픽을 다량 발생시키는 녀석으로서 V3에서는 아래의 진단명으로 진단하고 있습니다.